배경
4달동안 인프라 엔지니어 교육과정을 수강하면서 인프라 서비스는 리눅스 OS 위에서 동작한다는 공통점을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관련 자격증을 찾아 응시했다. 리눅스 마스터 2급을 취득했으나 실습 자격증 시험도 필요하다 생각을해서 RHCSA에 응시했다.
시험 정보
시험 시간: 2시간 30분
시험 방식: 실습 20문제, 온/오프라인, 필자는 오프라인 현장 시험 응시
합격까지 시험 횟수: 실기 1회
시험환경: RHEL(Red Hat Enterprise Linux) 9, 가상머신 노드1, 노드2
합격 커트라인 점수: 300점 만점에 210점
결과까지 소요 시간: 천차만별(n시간 ~ n주), 필자는 16일 소요
응시료: 50만원+VAT 5만원(23년 12월 기준)
준비 기간 및 학습량
준비기간: 2 주
하루 공부시간: 2시간
학습 방법: 덤프 문제 풀이
학습환경: Virtualbox/VMware/UTM 가상머신으로 RHEL 9 OS 실습
결과
실습을 열심히 학습했고 무난하게 합격했다. 떨어지면 재시험 기회가 있는지 알아보지 못했다. 시험료가 비싼만큼 치밀하게 준비해서 응시해야한다고 생각한다.
Lessons Learned
실습 시험이기 때문에 무조건 시험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준비하는 것을 추천한다.
실습 환경 구축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지 말자. Windows 환경에서 VirtualBox로 실습하는 것을 강력 추천한다. RHEL을 설치할 수 없다면 호환되는 CentOS도 괜찮다.
기본적인 리눅스 OS에 대한 이해와 사용 경험이 있다면 어렵지 않다. 그러나 단순히 덤프 문제만 풀고 암기만 해서는 합격하기 어렵다. 실습 문제를 해결하고 제대로 처리했는지 눈으로 확인해 봐야한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CE(Ansible) EX294 대비 연습문제 (0) | 2024.06.09 |
---|---|
오픽 준비 기록(완성중) (1) | 2024.02.20 |
전공자 SQL 개발자(SQLD) 51회 합격 후기 (0) | 2024.01.28 |
2023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후기 (0) | 2023.11.21 |
23년 3회차 리눅스 마스터 2급 1, 2차 합격 후기 (0) | 202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