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정보처리기사는 아마 가장 많은 사람이 응시하는 기사 자격이 아닐까 싶다. 나의 경우는 대학교 4학년 때 취득하지 않고 이제서야 뒤늦게 시험을 보았다. 얼마 전 최종 면접을 보는데 자격증이 왜 없냐는 질문을 들었고 가장 쉬운 자격증부터 취득해보자는 생각에 응시했다. 개정 이후 난이도가 상승했다고해서 겁먹고 준비 기간을 10일로 잡았으나 넉넉하게 5일이면 충분할 것 같았다.
시험 정보
접수 기관: 큐넷
지원 자격: 관력학과(4년제 모든 학과)면 지원 가능, 그 외에 다른 조건은 큐넷 참고
응시료: 19,400원
시험 시간: 150분
시험 방식: 4지선다형
과목 수: 5
시험 시간은 총 간 과목별 4지선택형으로 총 5과목을 응시하게 된다. 개인적으로 1,2 과목이 어려웠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문제는 기출문제와 비슷하게 출제된다. 전공자라면 마치 지난 대학시절 수업을 가볍게 훑어보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비전공자에게는 다소 괴로운 시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 아무 생각하지 않고 기계처럼 공부하는게 중요하다!!!
교재 및 학습 시간
교재: 수제비
교재 학습 시간: 약 28시간, 3.5일 (하루 8시간 학습)
기출문제 풀이 시간: 약 6시간 20분, 3일 (회당 40분 * 기출 풀이(20년도 1,2,3회/ 21년도 1,2,3회, 22년도 1,2회))
수제비라는 교재를 선택했고 이론 + 두음법칙 암기 비법, 과목별 소제목에 맞는 기출문제로 구성된다.
교재의 이론 자료를 학습하고 수록 22년 기출 문제를 풀었다. 이후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라는 사이트에서
20년~21년 기출 문제를 전부 풀었다. 시간이 남아 하루에 1개년 치를 풀었고 보통 80~90점대가 나왔다.
시간이 정말 없다면 3일동안 온전히 준비할 수 있다면 무리없이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넉넉하게 5일이면 충분할 것 같았다. 전공자라면 마치 지난 대학시절 수업을 가볍게 훑어보는 느낌을 받으며 어렵지 않게 공부할 수 있다.
결과
결과는 시험 종료 후 바로 나온다. 7월 16일 일요일날 당곡역 근처에 있는 기사 시험 장소에 방문해서 시험을 보았고 40분 정도 응시했고 평균점수 82점을 받았다. 평소에 약했던 과목인 1,2 과목에서 각 점수가 75점 정도 받았던 것 같다.
합격자는 온라인 자격 등록을 해야한다. 졸업증명서 발급에 2천원이 필요하다. 매번 발급받을 때마다 왠지 억울하다.
실기는 9월 4일부터 등록할 수 있고 10월 중에 시험을 볼 수 있다. 실기도 문제없지 않을까 싶다.
팁
전공자: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천하제일 암기대회같다. 소프트웨어 공학, 운영체제, 정보보안, 네트워크 관련 교양 과목 시험을 준비하는 것 같았다. 여기에 기초 C/Java/Python 코드, SQL 쿼리 정도만 준비하면 되기 때문에 솔직히 3일만 준비해도 턱걸이 시험 합격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의외로 많은 전공자들이 낙방한다. 자만하지 말고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체크하는 것을 추천한다.
비전공자: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면 응시 자격은 기본적으로 있겠으나 생소한 개념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쉽지 않을 것이다. 최소 2주는 잡고 이론을 익힌 뒤 여러 번 반복해서 기출문제를 푸는게 도움될 것 같다. 굳이 인터넷 강의를 들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준비하는 모두 화이팅~~~!!!!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픽 준비 기록(완성중) (1) | 2024.02.20 |
---|---|
RHCSA(Red Hat Certified System Administrator) 합격 후기 (0) | 2024.01.28 |
전공자 SQL 개발자(SQLD) 51회 합격 후기 (0) | 2024.01.28 |
2023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합격 후기 (0) | 2023.11.21 |
23년 3회차 리눅스 마스터 2급 1, 2차 합격 후기 (0) | 2023.09.17 |